안녕하세요, 고득점멘토 6기 삼입니다. 고득점멘토 6기 활동도 이제 끝을 달려가고 있네요! 언급을 못했던 부분들이 많아서 아쉬운 점이 많지만 그래도 일단은 최선을 다해서 마지막 칼럼을 작성하려고 해요. :(
이번 칼럼에서는 독립형 라이팅 구조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 저는 템플릿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2. 독립형
독립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테일"입니다. 개인적인 경험과 의견을 작성할 때 과하다 싶을 정도의 디테일을 쏟아붓는 것이 중요해요. 다만 뒷받침하는 내용이 모두 주제와 연관이 있어야겠죠. ETS TOEFL iBT® Writing Practice Test 4의 문제인 "A teacher’s ability to relate well with students is more important than excellent knowledge of the subject being taught."을 이용해서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1) 입장
말 그대로 문제에 대한 답변입니다. 찬성인지 반대인지, 세 가지 옵션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확실하게 정하는 과정이에요. 확실한 입장을 정해두지 않고 글을 쓸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되면 글 자체가 애매해질 가능성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저는 확실한 입장을 정해두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이때 이 입장을 고르는 기준은 그 순간에 얼마나 많은 근거와 예시가 떠오르느냐입니다. 실제로 찬성하는 입장이 아니더라도 근거가 더 많이 떠오른다면 그쪽을 고르시는 것이 글을 쓰기에 더 수월하실 거예요. 위에 언급된 문제인 "A teacher’s ability to relate well with students is more important than excellent knowledge of the subject being taught."의 반대 입장을 고르도록 하겠습니다.
(2) 구조
그다음에는 글의 틀을 잡으셔야 합니다. 어떻게 근거와 예시를 배치할 것인지, 어떤 식으로 주장을 전개할 것인지 간단하게 적어두면 글이 다른 길로 새지 않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저와 같은 경우에는 주로 아래와 같은 구조를 이용했습니다.
문단 1:
hook - 현 상황 설명, 정의 등
입장
근거 간단히 요약
문단 2:
근거 1 제시
예시 1 (통계)
예시 1 설명
예시 2 (개인적 - 본인)
예시 2 설명
근거 요약
문단 3:
근거 2 제시
예시 1 (설문/전문가 의견)
예시 1 설명
예시 2 (개인적 - 친구)
예시 2 설명
근거 요약
문단 4:
입장
근거 간단히 요약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의견
저는 이런 식으로 글을 구상했었고, 주로 600 단어가 넘게 에세이를 작성했었어요! 실제 시험에서도 같은 구조와 단어 수로 글을 썼었고요. 저는 근거를 두 개만 작성했었고, 예시를 최대한 많이 쓰려고 노력했던 것 같아요. 설문 조사, 전문가 의견, 통계, 신문에서 읽은 글 등 객관적인 자료를 일단 제시했고, 제 경험이나 친구의 경험을 작성해서 글을 더 개인적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문단 끝마다 근거를 다시 요약해서 포커스를 유지하는 것이고, 예시는 무조건 입장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에요. 마지막 문단의 희망적인 의견은 "I hope that in the future,"으로 시작하는 문장을 작성해서 다시 한번 제 입장을 견고히 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글을 정확하게 구상하시다 보면 오프 토픽을 어느 정도 방지하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ᵕ˙ 이전에 소개 드렸던 문제로 근거 하나만 간단하게 짜보겠습니다 (아주 디테일하지는 않은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나머지 근거 하나는 여러분께서 직접 짜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문단 1:
hook - 현 상황 설명, 정의 등
Teachers have a lifelong influence on the students they teach.
입장
근거 간단히 요약
I disagree with the idea that a teacher’s ability to relate well with students is more important than excellent knowledge of the subject being taught, as the teachers teaching excellent knowledge is more helpful for the students.
문단 2:
근거 1 제시
Teachers that can teach knowledge well rather than relate well are more useful for the students.
예시 1 (설문)
According to a statistics from an education company, 80% of the students chose "knowledge"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the teachers should have. Only 1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a teacher's ability.
예시 1 설명
The survey shows that for a majority of students, the teachers' ability to convey the knowledge well to the students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m being effective communicators.
예시 2 (개인적 - 친구)
In my friend's school, there were two English teachers. One was very popular amongst the students as he was good at communicating and relating with the students. Another was rather strict and stern; she only focused on delivering the content and did not have any non-academic conversations with the students. At the end of the course, more than 90% of the students in the latter class scored an A or higher, while only 30% managed to score A or higher in the former. Despite being friendly and approachable, the former teacher could not deliver excellent knowledge to the students.
예시 2 설명
The experience that the students in my friend's school underwent shows that the teachers being good at teaching knowledge is more helpful for students than them being friendly communicators. Although there might be a lack of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 students will still make more academic accomplishments, which is the utmost priority for most students.
근거 요약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for teachers to teach the knowledge of the subject well than to relate well with students.
문단 4:
입장
근거 간단히 요약
For all these reasons, I disagree that it is more important for teachers to teach the knowledge well than connect well with the students; learning knowledge rather than forming an emotional bond with the teachers would be much more useful for the students in the end.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의견
I hope that more teachers star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livering excellent and high-quality knowledge to the students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do so.
이렇게 독립형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 드려 보았는데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겠네요. :( 난해한 유형인 만큼 구조를 더 확실히 잡아서 좋은 점수 얻으셨으면 좋겠어요. :)
오늘로서 토플 칼럼을 마무리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이라 아쉬운 점도 부족한 점도 많았는데 늘 좋은 말만 해주신 덕에 힘을 얻고 글을 더 열심히 쓸 수 있었어요! 제 글을 읽고 도움을 얻으셨다는 분들 보면 정말 뿌듯하더라고요! 비록 제 칼럼은 여기에서 마무리되지만 모두 토플 시험도 잘 마무리하셨으면 좋겠고, 여러분이 제게 주셨던 응원만큼 큰 힘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 남겨주시면 다음 주까지 확인하겠습니다. 모두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