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득점멘토 6기 삼입니다!
오늘은 지난 칼럼에 이어 스피킹 영역 노트 테이킹에 관해 칼럼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 지난 1·2번 문항 노트 테이킹 칼럼을 미리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3번 문항
(1) 지문
3번 문항에서 역시 2번 문항처럼 지문을 인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개념에 대한 설명이나 예시를 받아 적어두고 응답의 첫 부분에 언급하면 응답의 전체적인 흐름을 잡는 데 많은 도움이 돼요. ETS의 TOEFL iBT® Test Speaking Practice Set 1을 이용해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지문 예시 출처: TOEFL iBT® Speaking Practice Set 1)
45초 간 주어지는 리딩 시간 동안 저는 "Revealing coloration is a defensive strategy in which animals startle the predator by initially hiding a brightly colored part of their body and abruptly revealing it when the predator approaches them." 정도로 revealing coloration이라는 주제에 대한 정의를 정리해둘 것 같아요. 만약 이렇게 요약을 하는 게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지문 초반부에서 "Revealing coloration is a defensives strategy that animals use to protect themselves from predators."라고 간단하게 정리해 주셔도 돼요. 강의에는 주로 지문과 관련된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 지문을 잘 요약하지는 못하더라도 지문 내용은 충분히 숙지해 주시면 음원을 이해하시는 게 훨씬 더 수월하실 거예요. :)
저는 리딩 시간에 구조를 미리 적어두었습니다!
(2) 음원
음원을 듣고 나서는 아래와 같이 노트를 작성해 줄 것 같습니다.
1
peanut bugs
front wings colored blend in w surr
back wings close & hidden hv bright colorful spots
when P attacked open back wings → pop big bright colors
surprise predator → chance to get away
2
morpho butterfly
parts of wings very shiny reflect sunlight
resting shiny part hidden
M attack by birds
bird approaches → M flies away → flap wings → birds see flashes light reflected → difficult to follow M → M get away
사용된 약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적어 놓았습니다.
w: with
surr: surroundings
hv: have
P: peanut bug
M: morpho butterfly
지난 칼럼에서 2번 문항을 설명드릴 때 말씀드렸듯 숫자로 사인 포스트를 쉽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 약어를 사용해서 시간을 단축하는 것, 그리고 화살표를 내용의 흐름을 간결하게 기록해 놓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이런 강의에서는 화살표를 잘 사용해 주어야 헷갈리지 않고 정확하게 응답을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위 노트에서 "bird approaches → M flies away → flap wings → birds see flashes light reflected → difficult to follow M → M get away" 부분에서는 화살표를 통해 앞의 행동이 다음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흐름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
(3) 준비 시간
준비 시간에는 부족한 부분을 노트에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어로 작성해 놓았거나 어구 형식으로 노트 테이킹 한 부분을 즉흥적으로 완전한 문장으로 바꾸어 말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헷갈리는 부분은 미리 완전한 문장으로 다듬어 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3번 문항과 같은 경우에는 평소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정확하게 설명을 하지 못할 것 같은 부분은 꼭 정리를 해주세요! 제가 스피킹을 할 때 사용했던 구조는 이 링크 (클릭!)로 들어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파란색 부분은 제가 실제 시험이었다면 추가해서 말할 것 같은 내용이고, 검은색 부분은 이미 노트 테이킹을 해둔 내용입니다.
According to the reading passage, revealing coloration is a defensive strategy in which animals startles the predator by initially hiding a brightly colored part of their body and abruptly revealing it when the predator approaches them. The professor employs two examples to explain this concept.
Firstly, the professor talks about peanut bugs. The front wings of peanut bugs are colored so that they blend in with the surroundings. On the other hand, their back wings that are close and hidden have bright and colorful spots. When peanut bugs get attacked, they open their back wings and pop the big, bright colors. This surprises the predator and gives the peanut bugs a chance to get away.
Secondly, the professor mentions morpho butterflies. Some parts of morpho butterflies' wings are very shiny and reflect a lot of sunlight. While the morpho butterflies are resting, these shiny parts are hidden. When a bird approaches, the monarch butterfly flies away and flaps its wings. The bird sees the flashes of light reflected by the shiny parts of the monarch butterflies' wings.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bird to follow the morpho butterfly so the morpho butterfly can get away.
Therefore, these two examples demonstrate the concept of revealing coloration.
오늘도 스피킹 노트 테이킹에 관한 칼럼을 작성해 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4번 문항 노트 테이킹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질문은 댓글로 편하게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