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린입니다.
어제 라이팅의 전체적 팁과 쓰는 방법을 공유했는데 오늘은 영역별 내용입니다! 템플릿/ 에세이 예시/ 쓰는 방법들을 다룰 것이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
통합형 문제
1. 노트테이킹
사실 토플 리스닝은 너무 길고 내용이 많아서 원어민이 들어도 그 순간에는 모두 이해하는 것 같지만 나중에 기억을 떠올려보면 어렵습니다. 잘 듣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리스닝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노트테이킹입니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내용을 적느냐에 따라서 얼마나 문제를 풀 수 있는지가 달라집니다. 특히나 라이팅 통합형 문제에서는 다시 볼 수 있는 본문과는 다르게 리스닝의 주장과 근거가 너무 중요한데 한번에 지나가버리기 때문에 더욱더 노트테이킹이 중요합니다.
제가 노트테이킹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들을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주요 포인트와 주요를 뒸밭쳐주는 서브 포인트들을 나눠서 필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렉쳐의 제일 처음에 나오는 주제문을 위에 적고 1번 포인트, 1번 근거 세부설명, 2번 포인트, 2번 근거 세부설명, 이런 형식으로 필기를 합니다. 또한 빠르게 지나가는 내용을 적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는데 그럴때는 생각나는 대로 짧게 줄여서 쓰거나 저는 가끔 한글도 섞어서 노트테이킹을 하는 편입니다. 아래는 제가 자주 쓰던 줄인 표현들을 첨부하겠습니다. 하지만 제 표현들을 무조건 써야되는 건 아니고 자기가 편한 대로 그냥 빠르게만 적을 수 있다면 상관없습니다. 노트테이킹한 종이를 누가 점수를 매기는 것도 아니니까 자신이 제일 편한대로 그냥 나중에 봤을 때 내용이 파악될 수 있을 정도로만 적으면 됩니다!
government | gov | president | pres |
돈/ money | $ | results in, lead to | → |
Increased/decreased | ↑/↓ | about | @ |
and | + 아니면 & | less 아니면 more | < 아니면 > |
with 아니면 without | w/ 아니면 w/o | between | btw |
because | bc | not | X |
some | sm | something | smth |
또한 리딩 지문을 읽고 노트테이킹을 할때
- 지문 주제 1. 리스닝 주제
a. 포인트 1 a. 리스닝 포인트 1
근거 근거
b. 포인트 2 b. 리스닝 포인트 2
근거 근거
보통 지문과 리스닝은 서로에게 답변하는 형식으로 리스닝에 지문에 나온 포인트들에 직접적으로 반대/답변하는 내용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노트테이킹부터 지문과 리스닝을 연결해서 정리하면 실제 에세이를 쓸 때 더 손쉽게 머리 속에서 구상할 수 있을 것 입니다.
또한 리딩 지문에서 각 소주제/포인트는 각 문단의 첫 부분에 (첫, 두번째 문장) 나옵니다.
----------------------------------------------------------------------------------------------------------------------------------------------------------
2. 페러프레이징
페러프레이징 하실때 가장 중요한 몇가지 포인트들이 있습니다. 일단 본문의 뜻을 바꾸지마라, 주요 내용을 빼먹지마라, 너무 본문이랑 비슷하게/똑같이 적지마라. 이렇게 3가지를 염두하면서 적는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무조건 모든 단어를 바꿔야하는 것이 아니고 너무 문장구조, 문법을 비슷하게 반복적으로 쓰면 감점 요소가 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수동태를 능동태로, 문장의 구조를 바꿔서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셔도 페러프레이징에 해당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방법은, 본문을 읽으실때 각 문장의 세세한 부분을 모두 신경쓰면서 읽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내용과 메세지를 파악하는 것에 집중하시면 페러프레이징 하실때도 본문과 너무 비슷하게 적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제가 한 동안 썼던 방법은 제 글을 쓸때 페러프레이징 해야되는 부분이 나오면 필사적으로 고개를 돌려서 본문이 안 보이게 한 다음에 제 글을 제 단어들로 풀어서 쓰는 연습을 계속 했어요. 한글을 읽을때 이 부분에는 어떤 단어를, 어떤 배열로 썼는지 신경쓰면서 읽지 않고 그냥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것 처럼요.
페러프레이징을 할때 억지로 표현을 바꾸려고 잘못된 단어를 쓰는 것 보다 리스닝이면 어느정도 들리는 대로 쓰는 것을 추천드려요. 하지만 리딩 지문은 절대 그렇게 하시면 감점이 되는 요인이기 떄문에 절대 리딩은 쓰여진 대로 에세이에 적으시면 안됩니다. 오히려 쉬운 단어로 바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려운 단어를 요구하지도 않을 뿐더러 오히려 무리해서 잘못되게 단어를 쓰면 감점이 무조건되기 때문입니다. 아는 단어 내에서 바꿔서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구글에 "_____ synonym" 이렇게 검색하시면 Thesaurus.com 에서 동의어를 많이 알려줍니다. 유의해야할 점은 동의어로 알려줘도 문장/문맥에서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간단한 단어들 말고 처음 보시는 단어들은 사전에서 검색 하고 인용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
3. 문제유형
Reading | Listening |
일반적인 원칙이나 규칙에 대한 글 | 그 규칙/원칙의 예외를 설명 하는 렉쳐 |
문제의 설명 | 문제 해결 방안 (성공 사례, 예상 못한 결과) |
어떤 원리, 이해, 관점에 찬성 | 그 원리, 이해, 관점에 반대 |
어떤 행동, 계획에 찬성 | 그 계획, 행동에 반대 |
이런 조합으로 리딩 본문과 리스닝 렉쳐가 나올 확률이 큽니다. 이런 조합을 알고 연습을 하면서 ‘아 이 조합의 문제이다’를 알아볼 수 있게 되면 시험장에 들어가서 통합형의 지문을 읽었을 때 렉쳐가 무슨 내용일지 예상을 하고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알려드린 지문과 렉쳐의 종류를 파악 할 수 있게 되면 시험에서 읽었을 때 손쉽게 지문과 렉쳐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고 목적을 파악하면 저자의 주요 주제/아이디어를 빠르게 파악 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메인 아이디어를 파악하면 에세이 계획을 세울때도 더 확실하게 글을 구상할 수 있습니다.
----------------------------------------------------------------------------------------------------------------------------------------------------------
4. 템플렛
Block format
- 서론
- 주제문
- 리스닝 렉쳐의 주제 (The lecture claimed A)
- 포인트 1 (Their two pieces of evidence were 1 and 2)
- 포인트 2
- 리딩 지문의 주제 (On the contrary, the writer claimed B)
- 포인트 1 (They asserted this because of 1 and 2)
- 포인트 2
4. 결론
Point by Point format
- 서론
- intro sentence
- 렉쳐와 지문의 각각 의견
- 렉쳐에서 나온 3가지 근거/포인트 요
- 포인트 1
- 렉쳐 포인트 1-1
- 지문 포인트
- 렉쳐 포인트 1-2
- 포인트 2
- 렉쳐 포인트 2-1
- 지문 포인트
- 결론
개인적으로는 point by point format 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또한 “주장했다” 의 “claimed”의 동의어를 4-5개 정도 외워주면 돌아가면서 통합형에서 손쉽게 쓸 수 있습니다. (Asserted, stated, declared, maintained) 이렇게가 제가 좋아는 4개 입니다. 이 에세이를 쓰면서 주장했다는 단어를 많이 써야하는데 계속 “claimed”만 쓰면 너무 반복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저의 point by point format의 예시 입니다 (333 단어) 제 에세이가 정답이라는 것도 아니고 그저 포맷을 보여드릴려고 제 에세이를 첨부했습니다.
Nowadays, it’s common to see university professors on TV giving their opinion or reporting in their field of expertise to the general audience. While the passage claims that it has a positive impact, the lecture refutes those claims by pointing out that no one benefits from appearances. She states that the professors will not be viewed professionally, that it will take up their time, and that the broadcasters will not allow for serious talks.
Her first point illustrates that oftentimes, professors that show up on TV receive a reputation of a not serious professor among his or her colleagues because of their decision to “entertain rather than educate.” Their appearance might bring in more money or allow them to gain a reputation among the public, but it will only serve as a negative factor among the other professors. It may hinder their opportunities to be invited to important meetings, to receive money to continue their research, thus impacting them in a professional sense .
Another point made in the lecture was about the time it takes for the professors to make an appearance. It isn’t as simple as just showing up on set and filming his/her segment and then leaving. There is so much time and effort that goes into curating what to talk about, the preparation, the rehearsal both personally and with the network, and even the time to get ready. All of this valuable time could be used towards helping and interacting with the students or focusing further on their own research. Because the appearances hinder the professor from doing their job, it also negatively impacts the university which directly opposes the claims made in the passage that it will build a stronger reputation for the university. (지문과 비교)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lecturer does not believe that anyone benefits from professors making TV appearances because it takes away from the professor’s professionalism and time and there is not much depth in the information that the audience in consuming.
----------------------------------------------------------------------------------------------------------------------------------------------------------
*** 통합형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자신의 의견을 쓰면 절대 안된다는 것입니다. 통합형의 목적은 ‘얼마나 글과 렉쳐를 읽고/듣고 주요 포인트들을 이해하고 요약 할 수 있냐’를 채점하는 것 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의견을 금물입니다. 내가 동의하는 주제이든 아니든 채점관들에게 시험자의 의견은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개인 의견을 넣으면 감점의 확률이 높아짐으로 유의해서 에세이를 작성하길 바랍니다.
----------------------------------------------------------------------------------------------------------------------------------------------------------
독립형
1. 구체적인 근거/예시
제가 항상 추천드리는 방법은 개인적인 경험을 적는 것입니다. 사실이 아니어도 얼마나 적절한 근거를 잘 설명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자기가 경험한게 아니어도 지어내어서 적었던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풀었던 지문 중에서 "돈이 많은 친구랑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을까"라는 주제문에 제가 썼던 근거는 "아니다. 내가 돈이 많은 친구가 있었는데 돈의 차이 때문에 같이 놀때 눈치보이고 점점 더 불편한 관계로 이어져갔다" 라고 했습니다. 제가 진짜 이런 경험을 해봤던 것은 아니지만 제 주제문에 적합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이런 근거를 지어서 썼습니다. 이렇게 가정을 해서 “만약 A라면 B일 것이다” 보다 개인적인 경험 처럼 가장한 구체적인 근거를 적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2. 템플렛
- 서론
- 훅 (읽는 이들의 관심을 끌 한 문장)
- Background
- 주장 주제문
- 본론 1
- 소주제 주제문
- 예시, 디테일, 설명, 경험
- 본론 2
- 소주제 주제문
- 예시, 디테일, 설명, 경험
- 결론
- 주제문을 다른 단어들을 써서 다시 주장하기
- 소주제들의 요약
**제 에세이가 정답이라는 것도 아니고 그저 포맷을 보여드릴려고 제 에세이를 첨부했습니다. 또한 저는 영타가 빨라서 글자수를 조금 많이 쓰는 편입니다. 이렇게 많이 안 쓰셔도 고득점 가능합니다!
주제문: Is skill based learning more beneficial in the long run than fact based learning in schools?
It is more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ideas and concepts than it is for them to learn facts. Unfortunately, up until a few years ago, schools and the standard education system were geared towards cramming facts into students’ brains and while this might have been useful for a trivia competition, in the real world, it had no effect. Nowadays, educ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focusing more on the concepts and the skill based learning which is more beneficial in the long run and more useful in the future.
It is more beneficial to teach concepts and ideas over facts because the students will retain it longer throughout their life. Let’s be honest. Facts might help on the unit test next week but once that is done, all the memorized information flow out of the brain like waste water and is erased from memory until the final exam where the fact is needed once again. By the end of the school year, it is hard for students to remember information learned at the start of the year; let alone after they graduate. Facts are too easy to forget and they do not serve an ulterior purpose in the long run. (부연 설명) It is more useful to be sending students out into society with the skills that they can apply to any job such as researching and coherently writing essays and these skills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sticking with students for life. Personally, when a friend from a lower grade than me asks about a specific assignment in a class I took last year, I don’t remember a thing about the specific answers or numbers but what I do remember is how I approached the project/ problem and how I developed my final product. (개인 경험) Those are the skills that will stick for life.
Another reason why concepts and ideas are more important is because it teaches the students to be creative thinkers. In the tradition setting cramming information and tests designed for memorization, it takes the focus away from why the material is important in the first place. The teaching method makes the students too preoccupied with memorizing all of the presidents names rather than learning about the important qualities of a leader. With the basis of learning coming from a concept and idea point of view, it allows the students more freedom to think outside the box and to have the liberty of choosing their own research topics that they are interested in. Instead of a test that is only made up of multiple choice about knowing the names and years that each president was in office, students would be able to think creatively and innovative lay if they do a project on what they think are the important qualities of leaders or presenting some of the policies that they would enforce if they were in office and so on. (대통령을 외우는 수업과 시험 vs 좋은 리더가 뭔지 가르쳐주는 수업 - 구체적인 비교) School and education should be a place of unique individuality and original thinking which teaching the concepts and ideas allows.
Schools should therefore move away from multiple choice fact memorization and move towards creative thinking projects that will stick with the students for life. With the malleable and adaptable skills, it will benefit the students in the long term much more than random facts will. To add on, it will create a creative environment where the students won’t be afraid to express their unique thoughts/ ideas and opinions about the concepts learned in class and apply them to different contexts.
댓글로 독립형 주제중에 근거가 생각 안나시는 분들있으면 최대한 생각해서 제 생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